전체 글

https://github.com/bysxx
사실 2023년은 개발자보다는 학생에 가까웠지만, 그래도 회사 생활과 함께 개발을 이어갔기 때문에 개발자 회고를 적어보려고 한다. 기술 블로그 올해는 블로그를 만들며 한 해를 시작했었다. 블로그를 쓰며 다양한 능력을 얻어간 것 같지만 그중 가장 마음에 드는 능력은 글을 쓰는 능력인 것 같다. 아직 많이 부족하긴 하지만 올해 초 썼던 글과 올해 말에 썼던 글을 비교해 보면 꽤 짜임새가 보인다. (+ 맞춤법도 많이 개선됐음) 그래서 사실 이전에 썼던 글 중에 많이 부족해 보이는 글은 많이 비공개로 돌려놓고 수정해서 하나씩 공개로 돌리고 있다. 또 블로그를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새로운 기술을 글로 정리해야 하고 이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서는 안되니 좀 더 꼼꼼하게 공부하게 됐던 것 같다. 그래서 꼭 성장하고 싶..
최근에 앱 개발을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찰나 우아콘 세션 중 눈에 들어오는 세션이 있었다. 제목은 "배민도 React Native 해요?" 였고 배민 커넥트에서 React Native를 사용하고 있었다. 세션을 중심으로 적지만 아주 조금의 내가 느낀 점, 생각을 더해 글을 적어보려고 한다. 기술 부채 먼저 배민커넥트는 기존 Android 먼저 개발된 이후 iOS가 개발되었다고 한다. 각각 네이티브로 개발되어 있었고, 잘 작동하고 있었지만 리소스가 부족해 React Native로 앱 개발을 새로 했다고 한다. 이렇게 굴러가고 발표자가 처음에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었을 땐 몇 가지 장점들과 함께 만족하며 개발하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개발할 수록 여러 가지 이슈들이 보였고 그 ..
· 개인
나도 아직 많이 많이 많이 부족하지만 후배들이 개발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어보면 이 말을 가장 많이 해준다. localhost에만 갇혀 개발을 하면 실제로 개발을 할 때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정말 많이 놓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한 개발뿐만 아니라 배포, 유지보수와 같은 경험들을 꼭 해보라고 말을 해준다. 배포나 유지 보수와 같은 경험들을 하게 되면 얻을 수 있는 능력은 너무나도 많다 그중 몇 개를 적어보려고 한다. 배포 배포를 준비하게 되면 AWS와 같은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클라우드에 대한 내용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또, 배포를 준비하며 웹 서버, 도메인(DNS)에 대한 내용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데, 이는 localhost에 갇혀있다면 회사에 들어갈 때까..
겨울 방학 계획 11월에는 겨울 방학 계획을 위해 이리저리 움직였다. 10월 회고에 언급했듯 학교와 협력하고 있는 회사에서 근무하면 학점을 준다고 하여 처음에는 협력하고 있는 회사에서 겨울 방학을 보내려고 했으나 적당한 회사가 없어 다시 프리랜서로 눈을 돌렸다. 시험기간이 오기 전 겨울 방학에 대한 계획을 마무리하고 싶어 이리저리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 내 목표는 2월 중순까지 근무를 하고 개강 전 후쿠오카 여행을 다녀오는 것인데 조건에 맞는 회사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딥러닝 내일까지 진행하는 딥러닝 Term Project가 있는데, 주제는 이미지 분류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만 진행하다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직접 모델을 구현해 볼 기회가 있었는데, 주변 AI 엔지니어들에게 물어보니 실제로 ..
이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React Query는 정말 좋은 비동기 처리 라이브러리이다. 하지만 Suspense와의 연동성이 좋지 않아 최근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저번 달에 React Query v5가 출시되었다. 이 버전에는 Suspense와의 연동은 물론이고 Next.js의 Streaming과의 연동성도 매우 좋아졌다. 이번 글에서는 React Query v5의 주요 변경점과 함께 Next.js과는 어떻게 연결 지어야 하는지 다뤄보려고 한다. One Function One Parameter React Query에 있는 모든 Hook, Method들은 이제 하나의 Parameter를 갖게된다. 여러 개의 Parameter를 갖던 경우에는 Object 형태로 받을 수 있게 바뀌었다. 이 부분..
Next.js 13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Next.js 14가 출시했다. 바뀐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Turbopack 2. Server Actions (안정화) 3. 부분 Prerendering Turbopack https://areweturboyet.com/ Are We Turbo Yet? No 91.1% of next dev tests are passing though✅ areweturboyet.com 큰 내용은 없고 Turbopack의 진행상황을 공유해 줬는데, 위 사이트에서 Turbopack의 테스트 코드 통과율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테스트 코드를 통과한 상태인데 100% 통과하면 안정화 버전으로 이동된다고 한다. Server Actions (안정화) https:..
어쩌다 보니 10월도 끝나가고, 이제 25살까지 60일 조금 넘게 남았다. 10월에 뭘 했지 하고 캘린더와 깃허브를 돌아보고 있는데, 역시 10월에 가장 큰 이벤트는 중간고사였다. 중간고사 암호학, 딥러닝과 같은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고 전에 올린 적이 있는데 중간고사에는 이 과목들 시험을 보았다. 처음에는 암호학이 여러 가지 수학적인 부분들도 많이 담겨 있어 어려웠지만, 지금 느끼는 암호학은 현대 알고리즘의 결정체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언뜻 보면 보안 쪽 업무를 하는 사람에게만 필요한 전공지식으로 생각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수업을 듣고 직접 암호학 알고리즘을 구현하다 보면 암호학은 수학을 기초로 한 아름다운 알고리즘과 비트 연산을 기반으로 한 성능 최적화도 함께 배울 수 있는 과목임을 알 ..
개요 Next.js 13의 구조에 대한 좋은 글을 읽어서 이 글을 내 생각과 함께 같이 정리해보려고 한다. 원문의 제목은 'Component Patterns in Next.js 13'인데, 이 글에서는 Next.js 13에 도입된 Server Component를 어떻게 사용하는 게 좋은 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Server Component? https://bysxx.tistory.com/18 먼저 Server Component에 대한 내용은 위 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간단히 요약하면 event handler나 hook과 같은 기능이 없는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번들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UX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초기 로딩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N..
9월 13일에 Next.js의 13.5 버전이 출시되었다. 사실 지금 13.5.4까지 나와있고 지금 다루기에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몇 주정도 토이 프로젝트에 적용해서 써보았는데 실제 체감되는 점도 좋은 정보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바뀐 점과 함께 적어보려고 한다. 업데이트 방법 버전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아래 커맨드를 입력하면 된다. npm i next@latest react@latest react-dom@latest eslint-config-next@latest 개발자 경험 향상 - 로컬 서버를 실행 속도 22% 향상 - HMR 속도 25% 향상 로컬 서버 속도 먼저 Next 13.5.4에서 로컬 서버 실행 속도를 체크해 보면 이 정도로 나오는데, 이전 버전에는 서버 실행 속도가 나오지 않지만 같은..
광안리 바다를 보며 9월을 돌아보고 글을 적어보려고 한다. 이게 얼마 만에 갖는 여유인 지 모르겠다. 개강 9월 초에는 개강을 하여 다양한 수업들과 함께 그렇게 바쁘진 않게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딥러닝, 시스템 프로그래밍, 암호학 등등 다양한 수업이 있는데 암호학이 정말 어렵다.. 암호학과 딥러닝은 웹 개발자인 내가 쉽게 접하기 어려운 분야였는데 아마 다른 웹 개발자들도 비슷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말고사를 끝내고 나서 웹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부분이 있다면 적어보려고 한다. CS 공부를 혼자 하다가 복학을 하고 나서 교수님에게 수업을 들으며 공부를 하면서 느낀 점이 많은데, 그중에 가장 크게 느낀 점은 공부하기에 훨씬 수월하고 체계가 쉽게 잡힌다는 점인 것 같다. 혼자서 전공 지식을 공부..
백윤성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개발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