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2023년은 개발자보다는 학생에 가까웠지만, 그래도 회사 생활과 함께 개발을 이어갔기 때문에 개발자 회고를 적어보려고 한다.
기술 블로그
올해는 블로그를 만들며 한 해를 시작했었다.
블로그를 쓰며 다양한 능력을 얻어간 것 같지만 그중 가장 마음에 드는 능력은 글을 쓰는 능력인 것 같다.
아직 많이 부족하긴 하지만 올해 초 썼던 글과 올해 말에 썼던 글을 비교해 보면 꽤 짜임새가 보인다.
(+ 맞춤법도 많이 개선됐음)
그래서 사실 이전에 썼던 글 중에 많이 부족해 보이는 글은 많이 비공개로 돌려놓고 수정해서 하나씩 공개로 돌리고 있다.
또 블로그를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새로운 기술을 글로 정리해야 하고 이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서는 안되니 좀 더 꼼꼼하게 공부하게 됐던 것 같다.
그래서 꼭 성장하고 싶은 개발자들은 기술 블로그를 시작하는 걸 추천한다.
보통 블로그 주제로 새로운 기술에 대한 리뷰, 월말 회고, 주관이 담긴 글 등이 있는데,
그중 조회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글이다.
하지만 내가 블로그 조회수로 먹고사는 사람은 아니니 조회수보다는 나에게 의미 있는 글을 중심으로 작성했다.
한 해동안 작성한 글 중 가장 만족하는 글은 "localhost를 벗어 나자"라는 글이다.
관련된 내용을 모두 적지는 못했지만, 이 글을 읽은 개발자나 학생들은 필요성을 모두 공감할 것이라고 믿는다.
프리랜서
학업과 커리어 둘 다 놓치고 싶지 않아서 내가 선택했던 길은 프리랜서였다.
전공 수업이 너무 많아 풀타임 근무는 불가능했고 어느 정도 업무 시간이 타협된 프리랜서를 택하게 되었다.
다양한 회사의 다양한 스택들을 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꽤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또 여러 스타트업 회사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였는데, 몇몇 방식이나 제도들의 장단점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였던 것 같다.
하지만 프리랜서는 다른 직원들과 협업한다는 느낌보다는 외딴섬에서 개발하는 느낌이 있는데,
나는 팀의 조직력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큰 단점이라고 다가왔던 것 같다.
(개인 활동이 더 편한 사람에게는 장점일 수도 있을 것 같긴 함)
그래서 사실 대학을 졸업한다면 프리랜서를 택하지는 않을 것 같긴 하다.
그래도 상황이 제한적인 나에게는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Next.js
2023 프론트엔드는 Next.js가 가득 채워져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Jamstack이 떠오름과 함께 Next.js 13 출시가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
내가 작성한 글만 해도 Next.js에 대한 글이 정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이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다루지 못하면 안되는 스택으로 자리를 잡았고, 필수적인 프레임워크가 되었다.
사실 Next.js는 예전부터 강력했지만, 2022년 10월에 remix와 닮아 있는 app router가 나오며 개발하기도 정말 편해졌다.
또 함께 나온 Server Components라는 개념은 번들 사이즈에 매우 민감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에게는 한 줄기의 빛 같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Next.js가 치트키인 것처럼 쓰이는 느낌을 조금 받았는데,
분명 강력한 프레임워크는 맞지만 오버 엔지니어링이 될 수도 있고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가 있을 수 있는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 쓸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마음은 이해가 되긴 한다..)
가치관의 변화
2022년까지만 해도 프론트엔드에 대한 공부만 계속해 스페셜리스트가 되는 게 가장 큰 목표였다.
하지만 올해에 들어서는 데브옵스, 백엔드와 같은 다른 분야에 대한 공부도 많이 했다.
다른 분야로 점점 넓힌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맨 처음 시작했던 계기는 답답함이었다.
프론트엔드를 개발하다 보면 백엔드에서 오래 걸리거나 불가능하다고 하는 작업들을 이해하지 못할 때가 많았다.
처음에는 이게 답답해서 백엔드 공부를 시작했고 점차 백엔드 개발자들의 고충을 조금씩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백엔드를 공부하다 보니 백엔드에 대한 지식은 물론이고 프론트엔드를 개발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는데,
협업이 훨씬 쉬워졌음은 물론이고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머리에 담을 수 있다는 점, 풀스택 프레임워크를 다룰 수 있다는 점 등 백엔드에 대한 공부는 프론트엔드 개발에 다양한 도움을 주었다.
그래서 지금은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성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이해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내년 이맘때에는 내가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어떤 개발을 하고 있을지 많이 궁금하다.)
마무리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는 글이 너무 짧게 끝날 것 같았는데 적다 보니 꽤 길어진 것 같다.
처음에 복학했을 때는 많이 걱정했는데 회고로 돌이켜 보니 부족하지 않은 한 해를 보낸 것 같다.
2024년에도 후회하지 않을 한 해를 보내고 싶다..!
'개인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2분기 개발자 회고 (0) | 2024.07.07 |
---|---|
2024년 1분기 개발자 회고 (0) | 2024.03.30 |
11월 회고 (1) | 2023.12.01 |
10월 회고 (0) | 2023.10.30 |
9월 회고 (0) | 2023.09.29 |